보도자료
국립생태원, 내륙습지 버드나무류 중심 탄소흡수계수 개발
-
번호
695966737
-
작성일
2025-09-30
-
작성자
국립생태원
-
첨부파일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이창석)은 내륙습지의 탄소 흡수량 산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버드나무류 중심의 탄소 흡수 계수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왕버들’의 탄소 흡수 계수를 개발해 신규 계수로 신청했다. 올해는 ‘선버들(Salix triandra subsp. nipponica)’로 연구 대상을 확대해 아직 미산정 상태인 수변림의 탄소 흡수량 산정 체계 마련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립생태원 탄소흡수연구팀은 현장 조사와 분석을 통해 선버들의 탄소 흡수 능력을 정량화하고, 그 결과를 국가 고유 계수 등록에 활용할 계획이다.
올해 조사는 남한강(여주), 금강(부여), 영산강(나주), 남강(산청), 낙동강(달성) 등 5개 지점에서 현장 측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연구로 내륙 습지의 실제 탄소 흡수량을 수치로 제시하고,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정밀도를 높이겠다”며 “‘미래공존’의 가치를 바탕으로 습지 보전·복원 정책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출처표시 국립생태원에서 제작한 콘텐츠 국립생태원, 내륙습지 버드나무류 중심 탄소흡수계수 개발 입니다. 국립생태원의 저작물은 “공공누리”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국립생태원, 강동문화재단과 시민·학생 생태교육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2025-09-29
-
다음글
국립생태원, 서천군 상습 침수구역서 ‘여기 꽁초잇슈’ 환경정화 실시202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