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야생생물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보호를 위하여 환경부가 지정 보호하는 생물들을 말합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 수가 현격히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 있어 가까운 장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을 말하며, 법으로 지정하여 보호 · 관리하는 법정보호종으로,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나누어 지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현재 60종 지정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종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현재 207종 지정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 요인으로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종
지정역사
- 1989~1997
- 1998~2004
- 2005~2011
- 2012.07
- 2017.12 ~ 현재
연도별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정 종수의 변화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비전
MISSION
멸종위기 야생생물복원으로 한반도 생태계건강성 회복
-
목표
- 국가 멸종위기종 보전 정책 수립 및 운영 중심기관
- 세계적인 수준의 멸종위기종 보전 및 복원 기술력 확보
- 과학적인 멸종위기종 증식ㆍ복원ㆍ평가체계 구축과 운영
- 멸종위기종 보전과 복원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
VISION
멸종위기 야생동물
보전과 복원 핵심기관 -
추진과제
-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에 필요한 기술력 확보
- 국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컨트롤타워 위상 확립
- 서식지외보전기관과 협력 연구 추진(대외협력)
- 국제적 보전 네트워크 활성화(국제 협력)
- 전문 연구 인력 양성
- 사회적 관심 및 참여 유도
주요기능
-
01
복원전략
-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장기 연구계획 수립
-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사업 평가, 서식지 보전 방안 모색
-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방안 연구
-
02
증식복원
- 멸종위기종 분류군별 원종확보 및 증식ㆍ복원 매뉴얼 개발
- 멸종위기종 분류군별 증식ㆍ복원 기술개발ㆍ보급
-
03
교육홍보
- 멸종위기종 교육프로그램 개발ㆍ운영
- 종복원 성과 홍보전략 수립ㆍ시행
-
04
운영관리
-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
- 시설관리 및 행정지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와 유관기관간 기능별 업무체계

멸종위기종복원센터

- 기획 조정
- 기술개발 이관
- 성과평가 지원
서식지 외 보전기관, 지방자치단체, 학교, 연구소, 민간기관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DB구축
사후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