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료
총 49건
1 / 5
-
전시 나와 지구, 모두의 힐링 반려식물 특별전
-
기간
2022-07-20 ~ 2022-09-18
-
장소
에코리움 에코파티오
코로나19로 울적하고 답답한 일상을 보냈나요? 열이 나고 배가 아픈 지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나요? 집에서, 학교에서, 사무실에서, 늘 가까이에 둘 수 있는 새로운 식구 ‘반려식물’과 함께 해보세요. 식물돌보기는 생명체를 다루는 활동으로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고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됩니다. 사람의 신체적, 교육적, 사회적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원예치료’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에게 치료․치유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실내공간에 두면 유해화학물질을 제거하고 맑은 산소를 내뱉으면서 깨끗한 공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사람에게 이토록 유익한 식물이 지구에게는 해열제
-
-
전시 한반도의 범과 생태계 展
-
기간
2022-04-26 ~ 2022-10-03
-
장소
에코리움 기획전시실
국립생태원은 임인년(壬寅年) 호랑이띠 해를 맞이하여 한반도 범과 생태계를 조명하는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호랑이는 최상위 포식자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임무를 담당해 왔습니다. 표범은 호랑이보다는 훨씬 몸집이 작고 점무늬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호랑이와 표범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범”이라는 순우리말 이름으로 불렀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궁궐과 도성에 범이 출몰했다는 많은 기록이 있고, 일상과 문화 속에서 범은 신령하고 용맹한 동물로 다수 표현되고 있어 한반도는 실로 “범이 많았던 호랑이의 나라(호담지국 虎談之國)”였음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오늘날 한반도에는 야생 호랑이와 표범이 살지 않습니다. 그 많던 범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범들로 인해
-
-
전시 너와 나, 우리가 함께할 미래 - CITES동물 보호시설 개관 특별전
-
기간
2021-11-08 ~ 2022-12-31
-
장소
CITES동물 보호시설 전시관
국립생태원 CITES동물 보호시설은 국제적으로 밀수·밀거래하다 적발되어 몰수된 오갈 데 없는 멸종위기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인간을 포함한 지구상의 모든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생각해 보고, 우리를 둘러싼 모든 환경은 서로 연결된 것이라는 전일적 시각으로 지구 생태계를 바라보자는 의도로 CITES동물보호시설 개관 특별전 을 개최합니다.CITES동물 보호시설 전시관에 준비된 아이디카드에 자신의 이름을 적어 넣고 전시의 주인공인 멸종위기동물의 입장이 되어 전시를 관람해보세요. 그 생명들이 이곳까지 오게 되었던 과정과 그동안 겪었던 일, 그리고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지 생각해보세요.이 전시를 통해 나 하나부터의 작은 생각과 행동이 환경오염,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감소 등의 위협
-
-
전시 글로벌 생태소양 이니셔티브 - 국립생태원 국제협력 네트워크 특별전시회
-
기간
2021-11-01 ~ 2022-02-06
-
장소
국립생태원 에코리움
※국립생태원은 전세계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싱가포르 국립공원위원회, 러시아 표범의땅 국립공원, 스위스 취리히동물원과 함께 국제협력 네트워크 특별전시회인 ‘글로벌 생태소양 이니셔티브’를 개최합니다.○ 전시구성 - 싱가포르 국립공원위원회: 순게이브루 습지 주변 서식 동식물 사진 설명 20장 - 러시아 표범의땅 국립공원: 아무르표범 등 멸종위기종 동식물 사진 설명 20장 - 스위스 취리히동물원: 마다가스카르 서식지 보전 관련 동식물 사진 설명 20장‘글로벌 생태소양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관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각 기관의 국제협력 활동에 대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특별전시회를 위해 각 기관에서 제공한 전 세계의 다양한 동식물 사진을 관람하시면서,
-
-
행사 2050탄소중립 특별전 탄소 빼기, 식물 더하기
-
기간
2021-10-09 ~ 2021-11-17
-
장소
농업생태정원
※ 국립생태원은 기후변화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하고 생활 속 식물 더하기를 통해 탄소중립의 실천방안을 소개하고자 2050탄소중립기획전‘탄소빼기, 식물더하기’ 기획전을 선보입니다.이번 기획전은 「2050 탄소중립」 에 대한 정부정책을 쉽게 전달하고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농업생태정원 내 식재식물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플라스틱 대체 식물』을 소개합니다.기후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그림안내판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 했으며 가을 분위기에 맞는 공간 구성을 통해 볼거리 및 포토존을 마련했습니다.따스한 가을 하늘 아래 자연스럽게 앉아 쉬며 전시를 즐기고,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는 좋은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전시 바닷가 모래언덕 이야기 - 2021년 기후변화 특별전
-
기간
2021-06-08 ~ 2021-08-29
-
장소
국립생태원 용화실못 옆 사구식물원
※국립생태원은 기후변화와 개발에 의해 사라져가는 바닷가 모래언덕(해안사구)의 가치와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알리고자 기후변화 특별전 '바닷가 모래언덕 이야기'를 마련하였습니다.○ 전시구성 - 바닷가 모래땅에 살아가는 식물들 - 식물의 도움으로 만들어지는 모래언덕 - 바닷가 모래언덕에 사는 동물들 - 바닷가 모래언덕의 중요성 - 사라져가는 모래언덕, 모래언덕을 위협하는 개발과 기후변화 - 사라지는 모래언덕과 다가오는 위험 - 우리를 지켜주는
-
-
전시 아프리카 호수가 품은 생명
-
기간
2021-06-03 ~ 2022-06-30
-
장소
에코리움 온대관 앞
※ 국립생태원은 환경변화로 위기에 처한 아프리카 호수의 생물을 통해 생물자원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국립생태원에서 만나는 수생태 '아프리카 호수가 품은 생명'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전시구성 - 환경과 생물 부분에서는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호수 3곳과 호수에 서식하고 있는 대표 물고기 25종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 호수의 위기 부분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호수의 온도변화 및 공업용수의 유입, 그리고 외래종인 부레옥잠, 나일 틸라피아 등으로 인해 호수의 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호수의 대표 어종과의 스냅사진을 함께 찍을 수 있는 장
-
-
전시 봄, 우리 들꽃 이름의 유래
-
기간
2021-04-23 ~ 2021-05-30
-
장소
한반도숲
흔하지만, 소중한 우리 들꽃의 아름다움을 전하고자 2021년 봄, 우리 들꽃 이름의 유래 전시를 개최합니다.우리나라의 식물 이름은 식물기관의 형태, 성질 및 숫자, 색깔, 냄새, 생활 습성, 동물이나 사물의 비유, 자생지, 설화, 꽃과 나무의 모양, 잎의 모양, 수피의 특색, 열매와 가시의 특징, 나무의 쓰임새와 유사성, 크기 등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특히 꽃 모양이 ‘족두리’와 닮았다고 해 붙여진 개족도리풀, 어린잎이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 등 식물의 생김새에서 이름이 유래된 우리 들꽃 5종을 선정해 새롭게 군락지를 조성하고, 해설판을 설치해 생태정보를 제공합니다.또한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그림으로 묘사한 5종의 세밀화와 24종의 다양한 식물 이름 유래를 소책자로 제공해,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
-
-
전시 지구의 탄소 저장고 ‘맹그로브’ - mangrove
-
기간
2021-04-27 ~ 2021-10-31
-
장소
에코리움 중앙 로비
※ 국립생태원은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기후위기 특별기획 ‘지구의 탄소 저장고 맹그로브’ 팝업전을 선보입니다.전 세계적으로 인류가 직면한 커다란 위기인 지구온난화의 주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국립생태원 에코리움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한 식물 ‘맹그로브’를 직접 만나보고, 인류와 지구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가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도 함께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생태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온라인생태원 : https://www.nie.re.kr/special/exhibitionView.do?menu_nix=tpF9LJyc&exhibition_i
-
-
전시 세밀화로 피어난 선인장 정원 - 국립생태원 기획전시 2020-12-01~ 에코리움 기획전시실
-
기간
2020-12-01 ~ 2022-03-13
-
장소
에코리움 기획전시실
※ 국립생태원은 선인장의 가치에 관한 관심과 이해를 확산하고자 보유하고 있는 선인장 65종의 세밀화들로 특별한 ‘선인장 정원’을 만들었습니다. 사막의 척박한 환경에서 나름의 생존 전략으로 살아가는 다양한 선인장의 생태적 가치와 숨겨진 매력을 아름답고 섬세한 세밀화 속에서 발견해 보세요. ※ 전시구성- 아주 특별한 선인장 정원으로 초대합니다.- ZONE1. 가시- ZONE2. 털- ZONE3. 줄기- ZONE4. 꽃가루받이- ZONE5. 꽃- ZONE6. 선인장과 우리의 삶※ 선인장은 식재료, 약재, 생활도구, 건축 재료 등 인간의 삶과 오랫동안 함께해왔으며 동물들의 안식처입니다. 하지만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2015년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약 1,500종의 선인장을 조사한 결과 31%가 불법 거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