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료
총 64건
1 / 7
-
전시 생태·환경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_생태·환경의 발견
-
기간
2025-03-25 ~ 2025-06-23
-
장소
에코리움 제1상설주제전시관
‘생태·환경의 발견’은 2024년 국립생태원의 보유 동식물과 연구 분야를 주제로 한 제1회 국립생태원 디자인 공모전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수상작의 특별전시입니다. 텍스타일은 ‘직물’을 의미하며, 텍스타일 디자인은 디자인의 요소를 이용한 패턴 제작을 뜻합니다. 이러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의 생태·환경을 모티브로 한 수상 작품의 예술성, 실용성 및 작품 속 생태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전달하여 대국민 생태가치 확산에 기여하고자 추진되었습니다. 전시는 텍스타일 패턴의 종류와 역사 등의 소개를 시작으로 수상작품 12점의 전시와 일상 속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대표하는 ‘홈 퍼니싱 디자인(Home Furnishing Design)’과 ‘어패럴 디자인(Ap
-
-
전시 국립생태원 CCPP 기후환경 사진 프로젝트 ‘Confession to the Earth’
-
기간
2024-11-05 ~ 2025-03-03
-
장소
에코리움 로비&전시실
국립생태원 CCPP 기후환경 사진 프로젝트 ‘Confession to the Earth’는 지난 2024년 9월 국립생태원과 서울 중구문화재단(사장 조세현)이 맺은 업무협약 이후 첫 번째 순회전시입니다. ‘지구에 대한 고백’이라는 부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잉마르 비욘 놀팅(Ingmar Björn Nolting), 맨디 바커(Mandy Barker), 닉 브랜트(Nick Brandt), 톰 헤겐(Tom Hegen), 이대성 등 한국, 독일, 미국, 영국 사진가 5명이 참여해 약 100여 점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마이클 잭슨 뮤직비디오 감독으로 알려진 닉 브랜트는 지치고 무기력한 인간과 동물의 모습을 통해 지구의 위기를 경고합니다. 14년 차
-
-
전시 자연의 영토 : 함께-세계 만들기에 대한 예술적 물음
-
기간
2024-10-08 ~ 2024-11-03
-
장소
국립생태원 에코리움
'자연의 영토' 전시는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주제로 국립생태원관 한국자연미술가협회-야투가 협력하여 기획됐습니다. 전시는 생태와 환경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해온 예술가·인문학자와 함께 국립생태원의 멸종위기동식물, 습지생태, 조류생태, 유전자변형생물체, 생태모방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이 참여했습니다. 김순임 작가의 「길 위의 날개」, 고사리 작가의 「모습」, 안성석 작가의 「회칠한 무덤」, 고승현 작가의 「기억의 열매 24-1」등 총 12개 작품이 전시됩니다 전시를 통해 사라져가는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
전시 난초의 숨결, 세밀화에 머물다
-
기간
2024-10-01 ~ 2025-03-01
-
장소
국립생태원 에코리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난초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나요? 국립생태원에서 살아 숨 쉬는 다양한 난초의 이야기를 세밀화 전시에 담았습니다. 「난초의 숨결, 세밀화에 머물다」 는 아름다움 속에 가려진 다양한 모습을 통해 난초의 생존 본능을 이해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난초를 보호하기 위해 기획하였습니다.
-
-
전시 공존의 섬, 격렬비열도
-
기간
2024-07-09 ~ 2024-10-31
-
장소
기획전시실
국립생태원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공동으로 기획하고 여는 섬생물 이야기, 공존의 섬 '격렬비열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서해의 독도처럼 귀중한 섬 격렬비열도를 지키는 마음으로 생물주권 수호의 최전방에서 대한민국의 섬 생물자원을 지켜나가겠습니다.
-
-
전시 지구생태계를 지키는 블루카본
-
기간
2024-05-17 ~ 2024-12-31
-
장소
에코리움 로비
블루카본이란 해양과 연안 생태계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탄소(카본)입니다. 맹그로브, 해초대, 갯벌 등 블루카본이 육상(그린카본)과 비교하면 최대 50배 정도 탄소저장 효과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서해안의 갯벌 생태계를 통해 블루카본과 탄소중립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환경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합니다.
-
-
전시 생태통로 생명의 길, 공존의 길
-
기간
2024-04-25 ~ 2024-07-01
-
장소
국립생태원 에코리움 로비
'생태통로: 생명의 길, 공존의 길' 은 우리가 한 번쯤 만났을 수 있도 있는 '생태통로'를 주제로 인간과 야생동물의 공존을 이야기합니다. 이번 전시는 인간의 이기심에 삶의 터전이 조각조각 나눠진 야생동물의 이야기와 이를 다시 잇기 위한 생태통로로의 역할과 우리의 노력을 담았습니다. 인간과 야생동물과의 공존을 위한 노력과 생태통로를 통해 그 의미와 또 다른 대안을 고민하는 시간이 되길 기대합니다.
-
-
전시 [동물복지특별전] 상처에서 치유로_동물폭력의 실태와 회복의 현장
-
기간
2024-02-28 ~ 2024-02-29
-
장소
국회 의원회관 2층 로비(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대로 741)
반려동물 학대와 야생동물 밀렵·포획 등 동물들이 위협에 처한 실상을 고발하고, 멸종위기동물 보호의 중요성과 생명윤리 인식 및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전시 공간은 ‘상처의 벽’과 ‘치유의 벽’으로 구성되며, ‘상처의 벽’에서는 동물이 위협받는 실태를 보여주고, ‘치유의 벽’에서는 동물폭력으로 물든 우리 사회를 치유하려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전시는 2월 29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되며, 신분증을 지참하고 국회 의원회관 2층에 오시면 누구나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
-
전시 [개원 10주년 기념 지역 작가 초대전] 국립생태원 X 지역 예술작가
-
기간
2023-12-05 ~ 2024-02-05
-
장소
국립생태원 전시공간 일원
개원 10주년 대미를 장식하는 전시행사로 겨울철(’23.12.~’24.2.) 야외관람 구역에 지역 예술작가와 협업전시를 기획하였습니다. 전시는 국립생태원이 소재한 충남 서천지역을 중심으로 생태와 환경을 주제로 오랫동안 작품활동을 한 작가들이 참여하였습니다. 서천군 최은동 작가(작품명: 사슴·나무·사슴), 군산시 강용면 작가(작품명: 온고지신·조왕), 공주시 고승현(작품명: 백년의 소리·가야금) 및 고요한 작가(작품명: 행복한 곰 가족), 그리고 충남문화예술재단 ‘충남예술로’ 공모사업으로 참여한 김혜린, 박재윤, 김은주
-
-
전시 [개원 10주년 기념 특별전] 지구의 보물 찾기 : 멸종위기 식물 탐험
-
기간
2023-09-26 ~ 2023-11-30
-
장소
국립생태원 에코리움 로비
국립생태원에서 개원 10주년을 기념하여 ‘국제적 멸종위기 식물’을 주제로 「지구의 보물찾기: 멸종위기 식물 탐험」 전시를 시작합니다. 식물이 우리 삶에서 어떤 중요한 기능을 하고, 왜 사라지고 있는지 생각해보는 전시입니다. 관람 후 에코리움 기후대관에서 보물처럼 숨어있는 멸종위기 식물을 찾아 탐험증과 활동지를 들고 탐험을 떠날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나와 식물의 관계를 되돌아보며 어떻게 하면 위기의 식물들을 보호할 수 있는지 함께 생각해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