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생태원

ENGLISH 검색창 열기
전체메뉴
사이트맵 열기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1월_멸종위기 야생생물

  • 작성일

    2025-01-02

  • 작성자

    국립생태원

1월_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_구렁이.jpg

[20251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구렁이

 

뱀의 해를 맞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뱀 구렁이

 

 

구렁이는 최대 2m까지 성장하여 국내 서식하는 뱀 중 가장 크고, 지역과 개체에 따라 색 변이가 다양해 먹구렁이’, ‘황구렁이등으로 불린다

등 면은 검은색 또는 올리브 빛깔의 암갈색이며, 몸통은 황백색, 회백색으로 흑갈색의 가로 줄무늬가 있는 경우가 있다

몸통 중앙부 비늘 열은 23개이며, 바깥쪽 3~5줄을 제외한 나머지 비늘에는 약한 용골이 있다.

 

주로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하고 5~6월까지 짝짓기를 통해 7~8월까지 약 8~22개의 알을 낳으며, 11월부터는 땅속, 바위틈 등에서 동면한다

구렁이는 큰 몸집과 다르게 독이 없고 온순하며, 주요 먹이원으로는 설치류, 조류, 양서류 등이 있다

구렝이, 먹구렁이, 흑질, 백질, 백장, 황치, 황새넙치등 다양한 방언으로 불렸으며, 속담과 전래동화에 단골로 등장하기도 했다.


전 세계적으로는 중국 중부와 북부, 러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민가 근처 돌담에서 쉽게 관찰되었으나, 1960년대 무분별한 밀렵,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20251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구렁이

 

뱀의 해를 맞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뱀 구렁이

 

 

구렁이는 최대 2m까지 성장하여 국내 서식하는 뱀 중 가장 크고, 지역과 개체에 따라 색 변이가 다양해 먹구렁이’, ‘황구렁이등으로 불린다

등 면은 검은색 또는 올리브 빛깔의 암갈색이며, 몸통은 황백색, 회백색으로 흑갈색의 가로 줄무늬가 있는 경우가 있다

몸통 중앙부 비늘 열은 23개이며, 바깥쪽 3~5줄을 제외한 나머지 비늘에는 약한 용골이 있다.

 

주로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하고 5~6월까지 짝짓기를 통해 7~8월까지 약 8~22개의 알을 낳으며, 11월부터는 땅속, 바위틈 등에서 동면한다

구렁이는 큰 몸집과 다르게 독이 없고 온순하며, 주요 먹이원으로는 설치류, 조류, 양서류 등이 있다

구렝이, 먹구렁이, 흑질, 백질, 백장, 황치, 황새넙치등 다양한 방언으로 불렸으며, 속담과 전래동화에 단골로 등장하기도 했다.


전 세계적으로는 중국 중부와 북부, 러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민가 근처 돌담에서 쉽게 관찰되었으나, 1960년대 무분별한 밀렵,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