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생태원

ENGLISH 검색창 열기
전체메뉴
사이트맵 열기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2월_멸종위기 야생생물

  • 작성일

    2025-02-03

  • 작성자

    국립생태원

이달의멸종위기 야생생물_흑두루미_포스터.jpg

[2025년 2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흑두루미

 

두건을 쓴 검은 두루미

 

흑두루미는 몸길이 100cm의 소형 두루미로 머리와 목을 제외한 몸 전체가 검은색이다

목부터 머리까지는 흰색, 부리는 황갈색이며 눈 주변과 이마 부분은 검은색이고 머리 꼭대기에는 깃털이 없어 붉은 피부가 드러나 있다. 이러한 외형으로 인해 영어로는 두건을 쓴 두루미, ‘Hooded crane’이라 불린다.

 

러시아 시베리아와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 일본, 중국 동부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순천만의 갯벌과 논에서 큰 무리가 월동하며, 이외에도 천수만, 철원 등 넓은 논이 있는 지역에서 관찰된다.

 

개발로 인한 갯벌의 감소와 논이 다른 작물을 위한 경작지로 전환되면서 흑두루미의 서식지와 먹이터가 줄어들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에도 취약 등급으로 지정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 여러 나라의 보호 노력 덕분에 개체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5년 2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흑두루미

 

두건을 쓴 검은 두루미

 

흑두루미는 몸길이 100cm의 소형 두루미로 머리와 목을 제외한 몸 전체가 검은색이다

목부터 머리까지는 흰색, 부리는 황갈색이며 눈 주변과 이마 부분은 검은색이고 머리 꼭대기에는 깃털이 없어 붉은 피부가 드러나 있다. 이러한 외형으로 인해 영어로는 두건을 쓴 두루미, ‘Hooded crane’이라 불린다.

 

러시아 시베리아와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 일본, 중국 동부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순천만의 갯벌과 논에서 큰 무리가 월동하며, 이외에도 천수만, 철원 등 넓은 논이 있는 지역에서 관찰된다.

 

개발로 인한 갯벌의 감소와 논이 다른 작물을 위한 경작지로 전환되면서 흑두루미의 서식지와 먹이터가 줄어들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에도 취약 등급으로 지정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 여러 나라의 보호 노력 덕분에 개체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