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9월_멸종위기 야생생물
-
작성일
2024-08-28
-
작성자
국립생태원
[2024년 9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여우
예부터 우리와 함께한 똑똑한 여우
여우는 예부터 아름답고 꾀가 많다는 이미지가 있어 동서양을 아울러 관련된 속담이나 이야기가 많이 전해져 내려온다. 이는 여우의 학명에도 나타나있는데 여우의 학명인 Vulpes vulpes에서 vulpes는 ’영리하다’는 뜻의 라틴어이다.
과거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고 있었으나, 쥐약으로 인한 2차 중독과 밀렵 등으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대 이후에 자취를 감추었다. 현재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소백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복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한반도 여우 개체군의 정착과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가 근처 야산에 주로 서식하며, 낮보다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다. 잡식성으로 식물의 열매부터 곤충, 양서류, 조류의 알, 설치류, 고라니 등 우제류의 새끼를 먹이로 한다. 굴이나 바위틈에 은신처를 만들고, 나무가 우거지지 않아 시야가 확보가 되는 곳에서 쉬는 것을 좋아한다.
[2024년 9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여우
예부터 우리와 함께한 똑똑한 여우
여우는 예부터 아름답고 꾀가 많다는 이미지가 있어 동서양을 아울러 관련된 속담이나 이야기가 많이 전해져 내려온다. 이는 여우의 학명에도 나타나있는데 여우의 학명인 Vulpes vulpes에서 vulpes는 ’영리하다’는 뜻의 라틴어이다.
과거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고 있었으나, 쥐약으로 인한 2차 중독과 밀렵 등으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대 이후에 자취를 감추었다. 현재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소백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복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한반도 여우 개체군의 정착과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가 근처 야산에 주로 서식하며, 낮보다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다. 잡식성으로 식물의 열매부터 곤충, 양서류, 조류의 알, 설치류, 고라니 등 우제류의 새끼를 먹이로 한다. 굴이나 바위틈에 은신처를 만들고, 나무가 우거지지 않아 시야가 확보가 되는 곳에서 쉬는 것을 좋아한다.
-
이전글
8월_멸종위기 야생생물2024-07-31
-
다음글
10월_멸종위기 야생생물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