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하천수로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서식 여부 판별한다
-
번호
695964020
-
작성일
2023-10-25
-
작성자
국립생태원
-
첨부파일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하천수만을 이용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흰수마자’의 환경 DNA를 검출할 수 있는 제품의 산업화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2022년 9월 22일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흰수마자 검출용 PCR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PCR방법’ 특허 기술을 부산에 위치한 중소기업 아쿠아진텍(주)(대표 김근용)에 이전한 바 있다.
아쿠아진텍(주)은 이전받은 기술을 활용해 흰수마자의 DNA를 신속하게 검출함으로써 서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 DNA 검출용 분자마커 키트를 개발, 산업화에 성공했다.
환경 DNA 검출 기술은 물속에 남아있는 생물의 유전자를 이용해 종의 서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멸종위기 어류를 직접 포획하지 않고 서식이 예상되는 지역의 물만으로도 확인이 가능해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손상이나 서식지 훼손을 방지하고, 누구나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전문 연구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 학생들도 쉽게 사용이 가능해 교육 기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환경 DNA 검출용 키트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종별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국립생태원은 추가 연구를 진행해 더 많은 멸종위기종에 대한 키트를 추가 제작할 예정이다.
이는 멸종위기종의 보호 및 보존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사업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국가 예산으로 개발한 기술이 사장되지 않고 산업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며, “공공의 기술이 사회와 기업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표시 국립생태원에서 제작한 콘텐츠 하천수로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서식 여부 판별한다 입니다. 국립생태원의 저작물은 “공공누리”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국립생태원-서울시설공단, 시민과 함께 ‘청계천 야생조류 투명창 충돌 방지 캠페인’전개2023-10-24
-
다음글
국립생태원, 생태계 지킴이 플랩북 '지구가 뜨거워진다고요?' 발간2023-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