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생태원

ENGLISH 검색창 열기
전체메뉴
사이트맵 열기

QR코드

국립생태원 기획전 한반도의 범과 생태계

  • 작성일

    2023-06-19

  • 작성자

    국립생태원

우리 조상들은 호랑이와 표범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이라는 순우리말 이름으로 불렀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궁궐과 도성에 범이 출몰했다는 기록이 많이 있고, 일상과 문화 속에서 범은 신령하고 용맹한 동물로 표현되어 왔습니다.

과거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반도 전체와 동북아시아 일대에 서식하였던 범, 특히 호랑이는

현재 러시아 연해주와 중국·북한·러시아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약 500마리 정도 서식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한반도에는 야생 호랑이와 표범이 살고 있지 않습니다. 그 많던 범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일제강점기에 사람과 가축에게 해로운 맹수를 제거한다는 해수구제(害獸驅除) 사업의 구실로 범을 포함한 맹수를 무분별하게 포획하였습니다.

이러한 무분별한 포획은 한반도에서 호랑이나 표범 등의 범을 사라지게 만들었고, 그 결과 한반도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호랑이는 멸종위기의 상태에 놓여있으며, 백두산호랑이()지역절멸(RE)’ 상태로 힘겨운 생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범이 멸종되지 않도록 보전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모든 생태계에는 먹이사슬이 존재하고, 먹이사슬을 통해 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되게 됩니다.

그런데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 역할을 하는 범이 사라지게 되면 먹이사슬이 깨지게 되고,

불균형해진 생태계는 결국 인간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범은 생태계의 균형을 잡아주고, 생물다양성을 지켜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제 건강하고 균형 잡힌 생태계 유지를 위해 범이 해줄 수 있는 생태적 역할을 이해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범이 우리와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호랑이와 표범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이라는 순우리말 이름으로 불렀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궁궐과 도성에 범이 출몰했다는 기록이 많이 있고, 일상과 문화 속에서 범은 신령하고 용맹한 동물로 표현되어 왔습니다.

과거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반도 전체와 동북아시아 일대에 서식하였던 범, 특히 호랑이는

현재 러시아 연해주와 중국·북한·러시아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약 500마리 정도 서식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한반도에는 야생 호랑이와 표범이 살고 있지 않습니다. 그 많던 범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일제강점기에 사람과 가축에게 해로운 맹수를 제거한다는 해수구제(害獸驅除) 사업의 구실로 범을 포함한 맹수를 무분별하게 포획하였습니다.

이러한 무분별한 포획은 한반도에서 호랑이나 표범 등의 범을 사라지게 만들었고, 그 결과 한반도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호랑이는 멸종위기의 상태에 놓여있으며, 백두산호랑이()지역절멸(RE)’ 상태로 힘겨운 생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범이 멸종되지 않도록 보전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모든 생태계에는 먹이사슬이 존재하고, 먹이사슬을 통해 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되게 됩니다.

그런데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 역할을 하는 범이 사라지게 되면 먹이사슬이 깨지게 되고,

불균형해진 생태계는 결국 인간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범은 생태계의 균형을 잡아주고, 생물다양성을 지켜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제 건강하고 균형 잡힌 생태계 유지를 위해 범이 해줄 수 있는 생태적 역할을 이해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범이 우리와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