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생태원

ENGLISH 검색창 열기
전체메뉴
사이트맵 열기

문의사항

졸업전시 인터뷰 문의

첨부된 파일로 동일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_ _ 안녕하세요. 국립생태원 담당자님, 저는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김희나입니다. “First- aid for Nature”이라는 제목의 프로젝트로, 자연재해나 이상 기후로 급격히 파괴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인공 서식지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디자인하고자 합니다. 올해 연말에 산업디자인학과 전시를 위한 프로젝트로, 실물 목업과 브랜딩 영상을 제작하여 전시할 예정입니다. 생태계 복원 과정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해오면서 생태계가 파괴되었을 때 인간 중심적 방법론이 아닌, 자연을 위한 복원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다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데스크 리서치를 진행하면서 실제 현장의 사례 전문적인 지식을 직접 듣고 싶어서 인터뷰를 요청드리게 되었습니다. **인터뷰는30-40분 정도로 예상이 되며, 온라인 (줌미팅) , 전화, 대면 인터뷰 모두 가능하니, 편한 요일 / 시간대 / 인터뷰 방법을 알려주시면, 담당자님의 편하신 시간에 맞추려고 합니다. (월,목,금,토,일요일 모든 시간대 가능합니다.) 연구와 업무로 바쁘신 와중에 실례를 무릅쓰고 부탁드리게 되었으며, 귀중한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하오니 긍정적인 검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희나 올림. 김희나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010-5016-8682 khn050600@naver.com ------------------------ 질문 리스트입니다. 질문 중 답변이 가능하신 부분만 선택적으로 답변해주셔도 좋습니다 [1]생물 다양성 복원 진행과정 _자연 재해 이후 생태계 복원 과정의 실제 긍정적인 사례가 있을까요 (국내, 해외)? _생태계 복원을 진행할 때 인간 개입의 적정 범위는 어디까지 라고 생각하시나요? _복원 진행 시 선구종을 선택하는 기준과 인공 서식지 유입 전략은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일까요? _인공 서식지와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작할 때 고려해야할 생태적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_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컬러,재료,형태 등 설계를 진행할 때 고려해야할 요소를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2]생태 기술 _인공 서식지를 설계할 때 가장 고려해야할 엔지니어링 요소는 무엇인가요? _실제 인공 서식지나 인공물을 설치할 때 쓰이는 재료, 내구성 설계 기준이 정해져 있을까요? [3]생태 감지 기술 _야생동물 탐기 기술의 트렌드와 실효성을 알고 싶습니다. _수집한 생물 모니터링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되나요? _센서 간 거리 설정, 데이터 정확도 확보 방법 등이 궁금합니다. [4] 생태계 복원 사업 _복원 사업의 실무 절차와 주요 페인포인트가 궁금합니다. _인공 서식지, 혹은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전문가(현장)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실효성 측면)
목록
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