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Report / Brief
과 제 명
2024년 LMO 자연환경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연구
-
책 임 자
이중로
-
연구기간
2024
-
연구부
LMO팀
-
분류
법정연구
-
저자
이중로, 정영준, 임혜송, 노동현, 박진호, 최원균, 남경희, 이재림, 천성준, 이은선, 이준우, 설민아, 윤아미, 김지훈
-
요약 및 목차
환경부는 국내 수입·승인된 LM 식물(면화, 옥수수, 카놀라, 콩, 알팔파 등)의 자연생태계 주변 비의도적 유출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LMO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부 제4차 LMO 안전관리 5개년 계획에 따라 올해 전국 1,100지역의 자연생태계 LMO 모니터링을 수행 하였으며, 총 1,927개의 LMO 의심시료가 채집되었고, LMO 의심시료 분석 결과, LM 카놀라 157, LM 면화 36개로 총 193개가 LMO로 판별되었고, LM 옥수수, LM 알팔파와 LM 콩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환경부 LMO 중점 관리 지역의 집중조사와 관리 체계 개선을 위해 조사 횟수 및 재조사 범위를 확대하여 ‘24년 환경부 LMO 중점관리지역 38 지역 중, 6개 지역에서 157개체의 LM 카놀라를 발견하여 제거 완료하였다. 비의도적으로 유출된 LMO에 의한 LM 식물과 근연종과의 유전자오염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24년에는 경기·수도권 29 지역을 조사하였고, 군산시 유전자오염 발생지는 ‘23년에 비해 3 km 확대된 26 km를 조사하였다. 유전자 오염 조사지에서 총 1,156개 의심시료가 채집되었으며, 157개의 LMO가 확인 되었다. LMO 유전자오염지 발견 LMO-근연종 유전자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LMO 157개체는 4개의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여러 세대가 교잡되어 특정 염색체(C 염색체)가 사라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LMO- 근연종 표현형 비교 결과 꽃잎 크기, 잎 형태 등에서 유사한 형태를 보였고, 야생 갓과 교잡종의 경우 개화 시기는 유사하나 유채보다는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MO 발견지 사후관리 방법 마련을 위해 물리적·화학적 방제 방법을 연구 한 결과, 광 차단의 경우 5일 이후 사멸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제초제 처리의 경우 적정 농도(1㎖당 3.5㎕)보다 낮은 60%에서 사멸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방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부 제4차 LMO 안전관리 5개년 계획에 따른 환경부 LMO 안전관리 소개 및 대국민 교육·소통 활성화를 위해 맞춤형 시민참여 모니터링 행사를 3회 시행하였고 참가자는 161명으로 전년보다 증가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90% 이상 긍정적 의견을 확인함으로써 LMO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는 LMO 안전관리 정책을 반영하여 생물 다양성 보전과 자연생태계 위해성을 최소화하고, 정부 제4차 LMO 안전관리 계획, 2024년 LMO 안전관리 세부시행계획 등의 이행 및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첨부파일

출처표시 국립생태원에서 제작한 콘텐츠 2024년 LMO 자연환경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연구 입니다. 국립생태원의 저작물은 “공공누리4”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