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Report / Brief
과 제 명
2024년 신기술 LMO의 위해성 평가 기술 및 가이드라인 개발
-
책 임 자
이준우
-
연구기간
2024
-
연구부
LMO팀
-
분류
법정연구
-
저자
이준우, 천성준, 설민아, 이중로, 최원균, 남경희, 정영준, 이은선, 임혜송, 윤아미, 김지훈, 노동현
-
요약 및 목차
본 과제는 유전자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s, LMOs) 중 신기술 LMO의 위해성평가 및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했다. 과제는 1) 신기술 LMO의 환경부 소관 평가 항목을 발굴 2) 환경부 소관 신기술 LMO 위해성평가용 모델 시스템 구축 3) 신기술 LM 미세조류의 환경방출에 대한 생물다양성 위해성평가 지표 발굴 4) 환경부 소관 신기술 LMO 위해성평가· 심사 지침(안) 및 LMO법 통합고시 개정(안) 개발로 구성되어 수행되었다. 신기술 LMO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각 신기술 유형의 특성을 기반으로 안전성을 분석하고 미국, 유럽연합, 일본의 규제 사례를 참조하여 환경부 소관 위해성 평가 항목을 제안하였다. 국내외 수입 및 개발 대비 신기술 LMO 위해 성평가용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LM 목본, 미생물, 미세조류 형질전환 및 우성형질 선별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각각 1개체의 LMO를 확보하였다. 환경부 소관 신기술 LMO의 환경방출 대비 국내 실정에 맞는 위해성 평가 항목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 담수 생태계를 기반으로 LM 미세조류를 접종하고 해당 생태계의 생존성과 증식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환경 유전자를 확보하여 국내 수생태계의 생물다양성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기술 LMO의 위해성 평가 및 심사를 거쳐 이용 승인을 받고자 하는 개발자 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환경부 신기술 LMO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신기술 LMO의 위해성평가·심사 가이드라인(안)을 개발했고 환경부 생산공정 이용시설 관련 LMO법 통합고시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본 과제는 신기술 LMO의 생태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신기술 LMO 안전관리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생명 공학 기술 발전을 대비하는 환경부 신기술 LMO 안전관리 체계 달성에 중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첨부파일

출처표시 국립생태원에서 제작한 콘텐츠 2024년 신기술 LMO의 위해성 평가 기술 및 가이드라인 개발 입니다. 국립생태원의 저작물은 “공공누리4”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