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페이지 내용 : 분 류 보호현황 분포현황 생태특성 위협요인 보전노력 양 낭 비둘기를 소개합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2 ● 비둘기목 COLUMBIFORMES 비둘기과 Columbidae ● 국명 양 낭 비둘기 학명 Columba rupestris 영명 Hill Pigeon ※ 종명 변경 양비둘기 → 낭비둘기 21. 11. 11. 한국조류학회 ● IUCN 적색목록 Red List 등급 관심대상 LC, Least Concern ● 환경부 보호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17년 지정 ●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 ‘18‘27 」을 근거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22종 보전계획 ‘21‘27 」 우선 복원대상종으로 선정 ● 세계적으로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중국, 몽골, 한국에 분포 ● 국내 분포 지역은 구례, 고흥, 연천 3개 지역 ● 국내 야생 개체수 150여 개체 중, 구례에 약 60개체 40% 가 서식 ● 해안가 절벽, 바위 틈, 교각, 사찰 등지에서 서식 ●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농경지와 초지에서 풀씨를 먹음 ● 번식은 주로 3월에서 10월까지이나, 간혹 겨울철에도 번식함 ● 야생 개체군 및 서식 실태 조사 ● 서식지 보전을 위한 위협요인 제거 ● 원종 확보 및 개체 증식 ● 구례 화엄사 양비둘기-문화재 보전을 위한 공존협의체 운영 ● 서식지 내 집비둘기와 잡종화로 인한 순종 양비둘기 개체수 감소 ● 집비둘기와 혼동한 남획, 양비둘기 보전인식 부족 ● 현재의 개체수 급감과 위협요인 지속 시, 국내 절멸 가능성높음
3페이지 내용 : 화엄사에 둥지를 튼 토종 야생비둘기 양비둘기 3 양비둘기는 예로부터 우리와 함께 살아온 토종 야생비둘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양비둘기 기록은 1882년 부산 낙동강 인근에서 Pierre Louis Jouy Stejneger 1893, Clark 1910 에 의한 채집 기록과 이후 1913년 서울 이왕가박물관, 1918, 조선산 조류 목록 에서의 기록이 있습니다. 1932년 ‘냥비닭이’ 또는 ‘바위비닭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이후 산비닭이 1933 , 양비둘기 1950 , 낭비둘기 1964 , 굴비둘기 1964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습니다. ▲ 대웅전의 처마 아래 양비둘기 ▲ 대웅전의 지붕에서 쉬고 있는 양비둘기 무리 우리땅에서 함께 살아온 양비둘기 화엄사에서는 오래전부터 각황전, 대웅전, 종각, 보제루 등에 살아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처마 아래 또는 건물의 틈을 잠자리로 이용합니다. 양비둘기가 서식하는 ▶ 각황전 정면 과 대웅전 양비둘기의 기록 화엄사의양비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