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보호지역
습지보호지역 현황
습지보전법은 습지의 효율적 보전 ·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습지 및 그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도모하고, 습지에 관한 국제협약의 취지를 반영함으로써 국제 협력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정기준에 맞춰 습지보호지역을 지정하고, 자연생태 핵심지역으로 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보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습지보호지역 지정근거 및 지정권자
-
법적근거 :
습지보전법 제8조(습지보호지역 지정)
-
지정기준 :
①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②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이 서식하거나 나타나는 지역
③ 특이한 경관적·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도지사
-
습지보호지역 지정절차 :
①습지정밀조사 → ②지정계획 수립 → ③지정계획서 및 지형도(면적 및 범위 설정) → ④지역주민 및 지방자치단체 의견수렴 → ⑤관계부처 협의 → ⑥지정·고시(최종범위 확정)
환경부 지정 : 30개소, 135.249㎢
습지현황 - 지역명,위치,면적(㎢),특징,지정일자(람사르등록) 제공 표 지역명 위치 면적(㎢) 지정일자 (람사르등록) 낙동강하구 부산 사하구 신평, 장림, 다대동 일원 해면 및 강서구 명지동 하단 해면 37.718 1999.08.09 대암산용늪 강원 인제군 서화면 심적리 대암산 일원 1.360 1997.03.28 우포늪 경남 창녕군 대합면·이방면· 유어면·대지면 일원 8.652 1998.03.02 무제치늪 울산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정족산 일원 0.184 2007.12.20 제주 물영아리오름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수령산 일대 분화구 0.309 2006.11.18 화엄늪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0.124 2002.02.01 두웅습지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0.067 2007.12.20 신불산 고산습지 경남 양산시 원동면 대리 산92-2일원 0.308 20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남 담양군 대전면, 수북면, 황금면, 광주광역시 북구 용강동 일원 0.981 2004.07.08 신안장도 산지습지 전남 신안군 흑산면 비리 장도(섬) 일원 0.090 2005.03.30 한강하구 경기 고양시 김포대교 남단~강화군 송해면 숭뢰리 사이 하천제방과 철책선 안쪽(수면부 포함) 60.668 2006.04.17 (장항 ‘21.5.21) 밀양 재약산 사자평 고산습지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산1 0.587 2006.12.28 제주 1100고지 제주 서귀포시 색달동·중문동~제주시 광령리 0.126 2009.10.12 제주 물장오리오름 제주 제주시 봉개동 0.628 2008.10.13 제주 동백 동산습지 제주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0.590 2010.11.12 (`11.03.14) 고창 운곡습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운곡리 1.797 2011.04.06 상주 공검지 경북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 0.264 2011.06.29 영월 한반도 습지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1.915 2015.05.13 정읍 월영습지 전북 정읍시 쌍암동 일원 0.375 2014.07.24 제주 숨은물뱅듸 제주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1.175 2015.05.13 순천 동천하구 전남 순천시 도사동, 해룡면, 별량면 일원 5.399 2016.01.20 섬진강 침실습지 전남 곡성군 곡성읍‧고달면‧오곡면, 전북 남원시 송동면 섬진강 일원 2.037 2016.11.07 문경 돌리네 경북 문경시 산북면 우곡리 일원 0.494 2017.06.15 김해 화포천 경남 김해시 한림면, 진영읍 일원 1.244 2017.11.23 고창 인천강하구 고창군 아산면, 심원면, 부안면 일원 0.722 2018.10.24 광주광역시 장록 광주광역시 광산구 일원 2.704 2020.12.8 철원 용양보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일원 0.519 2020.12.8 충주 비내섬 충북 충주시 양성면, 소태면 일원 0.920 2021.11.30 경남 고성 마동호 경남 고성군 마암면, 거류면 일원 1.079 2022.02.03 순천 와룡 산지습지 전남 순천 와룡동 산277번지 일원 0.899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