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사항
- 담당부서복원연구기획팀
- 연락처054-680-7233
환경부에서는 서식지 내에서 보전이 어려운 야생 생물을 서식지 외에서 체계적으로 보전, 증식할 수 있도록 야생 생물의 ‘서식지외보전기관’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야생 생물은 기본적으로 서식지(자생지)에서 보전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서식지 파괴, 밀렵 등으로 우리 고유의 많은 생물이 서식지에서 멸종하였거나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생물을 보전하고 번식시키는 것은 물론 자생지를 복원하기 위하여
‘서식지외보전기관’ 제도가 도입된 것인데요.
이와 같은 제도를 추진하여 보전 가치가 높은
야생 생물이 우리나라에서 사라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료 출처 :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정 현황(환경부, 2019년)
강원지역
서울·경기·인천지역
전라지역
충청지역
경상·대구·부산지역
제주지역
지역을 선택하시면 기관별 분포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분 | 포유류 | 조류 | 양서·파충류 | 어류 | 곤충류 | 육상식물 | 합계 |
---|---|---|---|---|---|---|---|
보전대상 종 수 | 13 | 10 | 3 | 10 | 5 | 65 | 106 |
멸종위기 야생생물 종수 | 20 | 61 | 7 | 25 | 22 | 77 | 212 |
비율 | 65.0% | 16.4% | 42.8% | 40.0% | 22.7% | 84.4% | - |
강원지역
1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 곤충3종 | 애기뿔소똥구리, 붉은점모시나비, 물장군 |
---|---|---|
2 (사)곤충자연생태연구센터 | 곤충3종 | 붉은점모시나비, 물장군, 장수하늘소 |
3 한국자생식물원 | 식물16종 | 노랑만병초, 산작약, 홍월귤, 가시오갈피나무, 순채, 연잎꿩의다리, 각시수련, 복주머니란, 날개하늘나리, 넓은잎제비꽃, 닻꽃, 백부자, 제비동자꽃, 제비붓꽃, 큰바늘꽃, 한라송이풀 |
4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 식물7종 | 왕제비꽃, 층층둥글레, 기생꽃, 복주머니란, 제비동자꽃, 솔붓꽃, 가시오갈피 |
5 (사)한국산양 · 사향노루종보존회 | 포유류2종 | 산양, 사향노루 |
6 한국수달연구센터 | 동물1종 | 수달 |
서울·경기·인천지역
7 평강식물원 | 식물6종 | 가시오갈피나무, 개병풍, 노랑만병초, 단양쑥부쟁이, 독미나리, 조름나물 |
---|---|---|
8 서울대공원 | 동물20종 | 반달가슴곰,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삵, 수달, 두루미, 재두루미, 황새, 시라소니, 담비, 노랑부리저어새, 혹고니, 흰꼬리수리, 독수리, 큰고니, 금개구리, 남생이, 맹꽁이 |
9 신구대학교식물원 | 식물11종 | 가시연꽃, 섬시호, 매화마름, 독미나리, 백부자, 개병풍, 나도승마, 단양쑥부쟁이, 날개하늘나리, 대청부채, 층층둥굴레 |
10 삼성에버랜드동물원 | 동물6종 | 호랑이, 산양, 검독수리, 두루미, 큰바다사자, 재두루미 |
11 (재)한택식물원 | 식물19종 | 가시오갈피나무, 개병풍, 노랑만병초, 대청부채, 독미나리, 미선나무, 백부자, 순채, 산작약, 연잎꿩의다리, 가시연꽃, 단양쑥부쟁이, 층층둥굴레, 홍월귤, 털복주머니란, 날개하늘나리, 솔붓꽃, 제비붓꽃, 각시수련 |
전라지역
12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 식물8종 | 노랑붓꽃, 진노랑상사화, 대청부채, 지네발란, 독미나리, 석곡, 초령목, 해오라비난초 |
---|---|---|
13 함평자연생태공원 | 식물4종 | 나도풍란, 풍란, 한란, 지네발란 |
충청지역
14 (재)천리포수목원 | 식물4종 | 가시연꽃, 노랑붓꽃, 매화마름, 미선나무 |
---|---|---|
15 순천향대학교 멸종위기어류 복원센터 | 동물7종 | 미호종개, 얼룩새코미꾸리, 흰수마자, 여울마자, 꾸구리 돌상어, 부안종개 |
16 고운식물원 | 식물5종 | 광릉요강꽃, 노랑붓꽃, 독미나리, 층층둥글레, 진노랑상사화 |
17 황새생태연구원 | 조류2종 | 황새, 검은머리갈매기 |
18 청주랜드관리사업소 | 동물10종 | 표범, 늑대, 붉은여우, 반달가슴곰, 스라소니, 두루미, 재두루미, 혹고니, 삵, 독수리 |
경상·대구·부산지역
19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식물5종 | 섬개현상, 분홍장구채, 대청부채, 큰바늘꽃, 고란초 |
---|---|---|
20 기청산식물원 | 식물10종 | 섬개야광나무, 섬시호, 섬현삼, 연잎꿩의다리, 매화마름, 갯봄맞이꽃, 큰바늘꽃, 솔붓꽃, 애기송이풀, 한라송이풀 |
21 경북대조류생태환경연구소 | 동물3종 | 두루미, 재두루미, 큰고니 |
22 우포따오기복원센터 | 동물1종 | 따오기 |
23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어류3종 | 꼬치동자개, 감돌고기, 모래주사 |
제주지역
24 한라수목원 | 식물26종 | 개가시나무, 나도풍란, 만년콩, 삼백초, 순채, 죽백란, 죽절초, 지네발란, 파초일엽, 풍란, 한란, 황근, 탐라란, 석곡, 콩짜개란, 차걸이란, 전주물꼬리풀, 금자란, 한라솜다리, 암매, 제주고사리삼, 대흥란, 솔잎란, 자주땅귀개, 으름난초, 무주나무 |
---|---|---|
25 여미지식물원 | 식물10종 | 한란, 암매, 솔잎란, 대흥란, 죽백란, 삼백초, 죽절초, 개가시나무, 만년콩, 황근 |
26 (재)제주테크노파크 | 동물3종 | 두점박이사슴벌레, 물장군, 애기뿔소똥구리 |